IUPAC (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)의 기공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.
미세공 (Micropores) | 공경이 작은 세공으로 세공 벽간의 거리가 20 Å 이하의 세공 |
중간세공 (Mesopores) | 세공 벽간의 거리가 20~500 Å의 세공 |
대세공 (Macropores) | 세공 벽간의 거리가 500 Å을 초과한 세공 |
![]() |
![]() |
활성탄의 세공구조 모식도 | 활성탄의 흡착과정 모식도 |
활성탄 흡착과정
1 단계 | 피흡착질 분자들이 흡착제 (활성탄) 외부 표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|
2단계 | 피흡착질이 활성탄의 대세공, 중간세공을 통해 확산하는 단계 |
3단계 | 확산된 피흡착질이 미세공 내부표면과의 결합 또는 미세공에 채워지는 단계 |
Point:
흡착은 흡착제 표면에 피흡착질 분자가 축적 (결합)되는 것이며 흡착 될 수 있는 물질의 양은 흡착제의 비표면적(세공용적) 크기에 달려있다.
흡착은 주로 미세공에서 일어나며 일부 중간세공도 그 역할을 한다.